Naver Cloud Platform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VPC 환경과 Classic 환경을 제공하며 각 환경은 독립 운용되어 제공하는 서비스에 약간 차이가 있다. Classic 환경에서는 서로 다른 계정 또는 리전간 서버들의 사설 통신이 가능하고 다양한 설치형 서버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좀 더 상세하고 높은 수준의 보안 설정이 필요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를 설계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VPC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Classic 특징
- Shared Network상에 자원 구축
- ACG에 의해 Tenant간 접근 통제
- CSP가 할당하는 사설 IP를 기반으로 워크로드 구축
VPC 특징
-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고객 전용 사설 네트워크인 VPC 제공
-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 설계 및 사설 Ip 할당
- 각 VPC는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분리
- 기존 고객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구현 기능
- 고객 계정마다 리전당 최대 3개까지 생성 가능
Server
Server는 물리적인 서버 자원을 구매하지 않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버를 생성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서비스다. 서버의 빠른 생성을 지원하고,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기 때문에 인프라 운영에 대한 부담을 덜고자 하거나 일시적으로 많은 서버 자원이 필요한 경우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Server (Classic)
특징
- Init Script 기능
- 사설 통신 및 외부 서비스 지원
- 공인 IP 제공
- Private Subent 제공
- private Subnet 간 VPC peering
- 추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지원
- 내 서버 이미지 기능 제공
- 세분화된 서버 타입 제공
서버 타입
타입 | 지원 | 특징 | 용도 |
Standard-g2 | 한국 | 범용성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vCPU 대비 메모리 비율을 균형 있게 할당하여 다양한 워크로드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 일반 웹 서비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
High Memory-g2 | 한국 |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메모리 집약적 워크로드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
High CPU-g2 | 한국 | 메모리 대비 vCPU 비율을 높여 컴퓨팅 집약적 워크로드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 과학적 모델링 |
Micro-g1 | 한국 | 계정당 1대만 이용 가능 체험용으로 가용성 및 성능 보장 불가 |
체험용 서버 |
Compact-g1 | 모든 리전 | 가격 부담을 줄인 저사양 서버 운영하는 서비스에 성능 이슈가 적고 서버 운영 비용 부담을 덜고자 하는 경우 적합 |
개발 테스트 서버 소규모 웹사이트 운영 |
Standard-g1 | 모든 리전 | 다양한 IT 비즈니스에 활용 가능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의 범용 서버 균형 잡힌 서버 사양을 제공하며 높은 가용성과 서비스 안정성 제공 |
중/대규모 모바일 및 웹 서비스 운영 게임/미디어/금융 서비스 운영 |
High Memory-g1 | 한국, 싱가포르, 일본, 미국, 독일 | 64 GB 이상의 고사양 메모리 서버 메모리 성능에 영향을 많이 받는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운영에 적합 |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대규모 게임 서비스 운영 |
CPU Intensive-g1 | 한국, 싱가포르, 일본 | 고성능 CPU를 장착하여 많은 연산이 필요한 업무에 최적화 | 머신/딥 러닝용 처리 서버 고성능 웹서버 비디오 인코딩 |
GPU-g1 | 한국 | Tesla P40, Tesla V100, Tesla T4 GPU가 장착된 서버 빅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등의 병렬 연산 처리에 적합 |
이미지 프로세싱 렌더링 과학 연산 머신 러닝 |
Bare Metal Servder | 한국, 싱가포르, 일본, 미국, 독일 |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 물리 서버를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 | 대규모 게임 서비스 |
Server (VPC)
특징
- Init Script 기능
- 사설 통신 및 외부 서비스 지원
- 공인 IP 제공
- VPC 환경에서 네트워크 구성
- 내 서버 이미지 제공
- 세분화된 서버 타입 제공
서버 타입
타입 | 지원 리전 | 특징 | 용도 |
Standard (g3, g2) | 한국, 싱가포르, 일본 | 범용성 높은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vCPU 대비 메모리 비율을 균형 있게 할당하여 다양한 워크로드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 일반 웹 서비스 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
High Memory (g3, g2) | 한국, 싱가포르, 일본 | 대용량 데이터 처리 등과 같은 메모리 집약적 워크로드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 고성능 데이터베이스 서버 |
High CPU (g3, g2) | 한국, 싱가포르, 일본 | 메모리 대비 vCPU 비율을 높여 컴퓨팅 집약적 워크로드에 적합한 서비스 제공 | 과학적 모델링 |
Micro (g3) | 한국 | 계정당 1대만 이용 가능 체험용으로 가용성 및 성능 보장 불가 |
체험용 서버 |
CPU Intensive (g2) | 한국 | 고성능 CPU를 장착하여 많은 연산이 필요한 업무에 최적화 | 머신/딥 러닝용 처리 서버 고성능 웹서버 비디오 인코딩 |
GPU (g1) | 한국, 싱가포르, 일본 | Tesla P40, Tesla V100, Tesla T4 GPU가 장착된 서버 빅데이터 분석, 머신 러닝 등의 병렬 연산 처리에 적합 VM당 최대 4 GPU까지 확대 가능 |
이미지 프로세싱 렌더링 과학 연산 머신 러닝 |
Bare Metal Server (일반, A100) | 한국, 싱가포르, 일본 |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고성능 물리 서버를 클라우드 형태로 제공 | 대규모 게임 서비스 딥 러닝, 자연어 처리 등 AI 작업 서버 대규모 데이터 처리/분석에 적합 |
'개발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이버 클라우드] Load Balancer 살펴보기 (0) | 2024.01.14 |
---|---|
[네이버 클라우드] Auto Scaling 살펴보기 (1) | 2024.01.09 |
[네이버 클라우드] VPC 살펴보기 (0) | 2023.12.31 |
[네이버 클라우드] Live Station과 함께 보는 치지직의 야심찬 도전 (0) | 2023.12.29 |
[네이버 클라우드] 멀티클라우드를 여행하는 개발자를 위한 안내서 (1) (2)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