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6

[케냐 키리냐가 키앙고이 AA TOP] 라임과 코코아 바디

오늘의 원두는 간만에 먹는 케냐 원두. 키리냐가 지역의 키앙고이 가공소에서 생산하는 AA TOP 등급의 원두라고 하는데, 여기서 AA는 생두의 스크린 사이즈가 17~18, TOP은 스페셜티 정도의 품질을 가리키는 등급을 말한다. 한마디로 맛좋은 스페셜티라는 뜻. 케냐 원두라고 하면 좋은 밸런스와 고급스런 맛을 떠올리는데 실제로 예전에 토마토맛이 나는 케냐 원두를 맛본 기억이 난다. 보통 키암부, 키리냐가, 엠부 지역의 원두가 유명한 편이다. 레시피는 테츠 카스야 4:6 아이스. 레시피 종류도 좀 늘려볼 생각이지만 워낙 요 레시피가 훌륭하다. 후기 새콤한 산미가 첫 모금을 반겨준다. 혓바닥 전체에서 느껴지는 착 달라붙는 산미가 라임과 닮았다. 가벼울것 같지만 생각보다 묵직한 바디감도 놀라운 점. 덕분에 산..

커피/케냐 2024.01.19

[네이버 클라우드] 멀티클라우드를 여행하는 개발자를 위한 안내서 (2)

https://kiku99.tistory.com/18 [네이버 클라우드] 멀티클라우드를 여행하는 개발자를 위한 안내서 (1) 클라우드 컴퓨팅은 참 매력적인 기술이다. 발전하는 IT 생태계에서 강력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미 많은 회사들이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있다. 물론 온프레미스 환경과 클라우드 kiku99.tistory.com 지난 글에선 NKS에 Cloudforet 서비스를 올리는 단계까지 진행했다. 이번에 할 일은 네이버 클라우드의 리소스를 수집하는 Collector 플러그인을 제작하는 것이다. Collector 플러그인은 gRPC를 통해 동작하며 spaceone에서 제공하는 명세에 맞게 api를 작성하면 된다. 현재 작성해야 하는 api는 init, verify, collect 라고..

개발/Cloud 2024.01.17

[에티오피아 시다마 벤사 캐넌아세파] 크렌베리 폭탄

오랜만에 찾아온 커피 타임. 연구실에서 집으로 이사하느라 이제서야 원두를 주문할 수 있었다. 간만에 먹는 커피니까 좀 특별한 원두를 시켜보았다. 올해는 에티오피아 내부 사정땜시 COE가 무산되었는데, 따라서 품질대비 좋은 가격의 랏들이 시장에 많이 풀렸다. 에티오피아 시다마 벤사 농장의 케넌아세파도 그 중 하나다. 추출 레시피는 테츠 카스야 하이브리드 아이스. 향미를 빡 느끼고 싶을땐 이 레시피를 사용하곤 한다. 마셔보니 엄청 프루티한 원두였다. 시다마쪽 원두가 베리 느낌이 많이 나던데 역시나. 아리차랑 비슷한데 좀 더 달달한 느낌? 복합적인 맛을 가지고 있고 바디감도 좋지만 가성비 면에서 아리차 승. 후기 풍부한 과일들을 느낄 수 있는 원두. 향은 달달구리한 딸기가 연상되는데 마시기 전부터 기분이 좋아..

[네이버 클라우드] Load Balancer 살펴보기

Naver Cloud Load Balancer Load Balancer는 수신 트래픽을 다수의 서버로 분산시키는 서비스로, 등록된 멤버 서버로 수신 트래픽을 분산시켜 가용성을 높이고 시스템 가동률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워크로드의 가용성을 향상시켜 예기치 못한 서버의 장애 또는 예정된 변경 작업 등에 대하여 중단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높은 가용성 보장 관리 콘솔 및 개발용 API 제공 암호화 처리를 통한 보안 강화 상황병 로드 밸런싱 알고리즘 지원 상세 기능 사용하는 플랫폼에 따라 로드 밸런서 타입도 다르다. Classic SSL 인증 및 암호화 설정 Load Balancer 포트 설정 Load Balancer 모니터링 Load Balancer 생성 후 연결 유지 시간 및 K..

개발/Cloud 2024.01.14

[네이버 클라우드] Auto Scaling 살펴보기

Naver Cloud Auto Scaling Auto Scaling이란 미리 지정해둔 임계치를 기준으로 서버를 모니터링하면서 서버 수를 자동으로 조절해 유동적인 트래픽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서버 관리 서비스다. 만약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컴퓨팅 자원을 판정할 수 없는 불확실한 상황이라면 고가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Auto scaling을 활용할 수 있다. 운영 중인 서버를 모니터링해 서버 증량이 필요한 조건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서버 수를 늘려주고, 조건이 해소되면 자동으로 서버가 반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서버 수요량이 예측 가능한 상황이라면 서버 증량이 필요한 시점에만 서버 수가 늘어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서버를 최대 부하가 발행했을 때 필요한 수로 고정해두지 않고 필요할 때에만 증량함으로써 비용 절..

개발/Cloud 2024.01.09

Hello 2024

다사다난했던 2023년을 뒤로하고 새해가 밝았다. 올해는 나에게 있어 중요한 1년이 될 것 같다. 18년간의 학생 신분이 끝나고, 사회인이 될 준비를 해야하기 때문. 그리고 좀 쉬고싶기도 하고.. 아무튼 새해를 맞아 신년 운세를 한번 봤다. 평안과 안정을 누린다는데 백수는 아니겠지.. 사주를 완전 믿진 않지만 충고 정도로 듣는 편이다. 잘 먹고 잘 자면서 취준을 열심히 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여야겠다! 작년에는 참 많은 일들이 있었다. 좋은 일, 안좋은 일, 기쁜 일, 슬픈 일 여러가지 있었는데 생각나는 순간들만 떠올려 보자면 아무래도 미국 여행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작년 여름에 라스베가스로 한달동안 연구 프로그램을 갔다왔는데 잊지 못할 추억을 남긴 것 같다. 버킷리스트에 있던 그랜드 캐니언 투어도 성공해..

일상 2024.01.08

[네이버 클라우드] VPC 살펴보기

Naver Cloud VPC Naver Cloud VPC(Virtual Private Cloud)는 퍼블릭 클라우드 상에서 제공되는 고객 전용 사설 네트워크 서비스로 온프레미스 환경의 네트워크를 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가상 네트워크로 이관하여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다. VPC는 논리적으로 완벽하게 격리되어 다른 사용자의 네트워크와 상호 간섭되는 일 없이 클라우드 상에 안전하고 투명한 IT 인프라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VPC 안에 Subnet을 구성해 용도별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고 ACG(Access Control Group), NACL(Network Access Control List)를 통해 서버와 서브넷 측면에서 상세한 접근 제어가 가능하다. Cloud Connect와 IPsec V..

개발/Cloud 2023.12.31

[네이버 클라우드] NCP & Server 살펴보기

Naver Cloud Platform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에서는 VPC 환경과 Classic 환경을 제공하며 각 환경은 독립 운용되어 제공하는 서비스에 약간 차이가 있다. Classic 환경에서는 서로 다른 계정 또는 리전간 서버들의 사설 통신이 가능하고 다양한 설치형 서버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좀 더 상세하고 높은 수준의 보안 설정이 필요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를 설계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VPC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Classic 특징 Shared Network상에 자원 구축 ACG에 의해 Tenant간 접근 통제 CSP가 할당하는 사설 IP를 기반으로 워크로드 구축 VPC 특징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고객 전용 사설 네트워크인 VPC 제공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 설계 및 사설 Ip..

개발/Cloud 2023.12.30

[네이버 클라우드] Live Station과 함께 보는 치지직의 야심찬 도전

요즘 라이브 방송의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연예인들은 팬들과 소통을 라이브 방송을 통해 하거나 각종 공연, 페스티벌을 집에서 생생하게 즐길 수 있다. 동시에 동영상 서비스를 주로 하던 유튜브나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도 라이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라이브 서비스는 굉장히 높은 수준의 QoS가 요구된다. jitter, delay등에 의해 발생하는 버퍼링은 사용자 입장에서 충분히 불쾌하며 고화질과 높은 프레임 수준 또한 라이브 방송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최근에 인터넷 방송 플랫폼인 트위치가 한국에서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발표했는데, 동시에 혜성처럼 등장한 네이버 치지직이 베타 서비스를 시작하며 새로운 인터넷 방송 플랫폼의 출발을 알렸다. 과연 치지직이 국내 인터넷 방송 시장에 어떤 ..

개발/Cloud 2023.12.29

[네이버 클라우드] 멀티클라우드를 여행하는 개발자를 위한 안내서 (1)

클라우드 컴퓨팅은 참 매력적인 기술이다. 발전하는 IT 생태계에서 강력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미 많은 회사들이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있다. 물론 온프레미스 환경과 클라우드 환경을 잘 비교해 서비스에 알맞은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좋지만 발전하는 보안 기술과 규모의 경제로 인해 클라우드의 파이가 더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AWS, Google Cloud, Microsoft Azure 같은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에서 하나의 플랫폼만 이용하지 않고 다양한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Cloudforet은 이런 다양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관리하는 플랫폼으로 리눅스 재단에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등록되어 관리되고있다. https://cloudforet..

개발/Cloud 2023.12.10